비겁다자 Man Ocean Sea Sos Surreal Cartoon - CDD20 / Pixabay

일간 日干_궁성론 명리사전 1 궁성론 명리사전 1 궁성론 명리사전 1

last updated on 2023-05-07

일간 日干

사주팔자의 주인공 나를 대표하는 천간의 위치.

일반적 정의

일日 ; 태어난 일
간干 : (태어난 날의) 천간

사주팔자의 주인공,기준,주어 역활인 나의 위치이다. 사주팔자에 주체가 있어야 사주의 해석이 가능하다. 4기둥 사주팔자를 체계화한 자평명리에서 일간을 주체 -나 라고 규정한다. (그 전에는 태어난 년간으로 보았다. ) 특히 십성론에서 나의 기준점으로 비식재관인 주변관계를 보기에 중요하다.

또 다른 표현법으로 아(我), 아신 我身 (자아의 신) 또는 체용(體用)론에서는 사주의 주체(기준,근간)으로 보고, 체(體), 체신(體神)이라 부르기도 한다. 즉 나는 사주의 주체이자, 나의 삶의 주인공 이다.
일간의 왕쇠를 신왕/ 신약으로 구분하여 사주풀이를 한다. 기쎈 나 vs 기 약한 나 (억부법)

왕탁 정의

나를 정의함에 있어 년/월/일/시 중 일日의 천간. 즉 태어난 날의 하늘의 기운을 나로 보는 것의 의미를 주목해야 한다. 먼 과거에는 년간을 나로 했으나, 그해 년도의 모든 동기생이 나?였으니, 사주팔자 풀이도 그 시대적 배경이 크고, 당시 개인성보다 집단성이 우선시 되는 시대적 배경이 보인다. 아직도 어른들이 너 무슨띠니 ? 한다. 전 개띠가 아닌 영희 입니다. ^^

궁성론 측면에서….
시공간적으로 년월일시를 시공간적으로 [원형이정] 중 리이며, 인간의 나이로 보면 초년/청년/중년/말년 중 중년을 나로 본다. 이는 중년에 비로서 나의 주체적인 나다운 나인 시기로 설득력이 있다. 초년은 부모가 나이고, 청년은 아직 영글어가기는 나이고, 비로서 중년이 성공여부를 떠난 나다운 시기이다. 말년은 이미 나이기에는 늦은것이다. 현대시대 의학발전 생명연장으로 일간의 구간은 40~60세. 그러니 나다운 나를 위한 시기를 위해 준비를 해야할거이다. 가장 나답기에 행복한 시기 아닌가… 결국 사주의 주인공은 나다. 살의 주인공도 나다. 그래서 당신의 일간 중년=정점의 여정이 주목이 된다. 그래서 중년에 망가지면 회생하기 어렵다는 말도 그 위치의 중요성을 암시한다.

기氣 energy

내가 태어난 날의 기운이 나의 기운이다. 음양오행의 천간중 하나가 될것이다. 병화일간은 병화의 기운이 내가 된다. 내가 왕王하면 기가 강하다는 것을 ‘신왕’ 이라고 하며, 반대로 내 기운이 약하면 신약 이라고 한다. 나의 기운은 일간 글자 하나로 독립된 것이 아니며, 사주팔자 전체 나머지 7글자와의 관계로 최종 그 기운의 성격과 힘이 규정되어 진다. 이것이 바로 사주풀이의 시작 기초이다. .

상象 object images

시공간에 따른 나의 모습들, 나의 기운 에너지는 변화하며, 순간순간의 모습이 다르다. 내가 어릴적 내 모습이 아니다. 하지만 그 기운은 같다. 죽을때 까지…

형形 shape, form

시간적으로 중년의 모습, 4~50대,
유명인으로 내가 될수있고, – 내 인지도
직업이 내가 될수있고, – 내 명함
아내가 내가 될수있고 – 내 반쪽
자식이 내가 될수있다. – 내 유전자
즉 나의 기운은 내 몸(body) 외에 세상이라는 시공간을 통해 구체적 대상과 형상으로 드러내진다.

관련글 link



작성자 : 왕탁명리
copyright @ WangTak Mingli
(무단복제 배포 시 저작권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왕탁명리

Loading

댓글 달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
Scroll to Top